Network

[ Network ] VLSM 이란?

jogaknabi_1023 2024. 3. 14. 18:51

 

pc나 서버 등에 IP 주소를 부여할 때는 다음 그림과 같이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부여된 것과 동일한 서브넷에 소속된 것을 사용해야하며,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부여된 IP 주소를 게이트웨이 주소라고 한다.

 게이트웨이 주소는 해당 서브넷에 소속된 IP 주소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나, 보통 서브넷의 사용 가능한 처음 주소 또는 마지막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앞의 그림에서 R1 의 F0/0 인터페이스에 사용된 IP 주소가 192.168.1.1/26 이므로 해당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PC 들에게 부여할 수 있는 IP 주소들은 (192.168.1.2 ~ 192.168.1.62) 이다.

 즉, 해당 서브넷에 소속된 주소 중 192.168.1.0 은 서브넷 주소이고 마지막 192.168.1.63 은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므로 PC에 부여하지 못한다. 또 192.168.1.1 은 게이트웨이 주소로 사용되었으므로 결국 남아있는 주소는 64개 중에서 3개를 제외한 61개 이다. 보통 스위치에도 관리를 위해 하나의 IP 주소를 부여하므로 그림에서 R1 의 F0/0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PC의 대수는 60개이다.

 

 

그림에서 라우터 R1, R2 를 연결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에는 PC가 없으므로 2개의 IP 주소만 있으면 된다. 이처럼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서 남는 IP 주소를 필요한 부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s, 가변길이 서브넷 마스크)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VLSM 이란 서로 다른 길이의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서브넷마스크를 수정하여 IP 주소를 더 작은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R1 의 F0/0 인터페이스에는 100개 이상의 호스트를 지원하는 서브넷이 필요하다. 앞서 사용했던 서브넷 계산표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 호스트 수 100개 이상을 지원하는 마스크 길이는 1비트이고 이 경우 호스트 수가 128이 된다. 따라서 R1 인터페이스에는 192.168.1.0/25에 소속된 IP 주소를 부여하면 된다. 서브넷 마스크 길이가 1이므로 분할되어 생기는 서브넷은 2개이고, 뒷부분의 192.168.1.128/25 하나가 남는다. 그런데 실제 필요한 서브넷은 네트워크 2와 네스워크3에 사용할 2개이다. 이를 위해 남은 192.168.1.128/25를 다시 분할한다. 두 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므로 서브넷 마스크 길이 1을 증가시키면 된다. 결과적으로 192.168.1.128/26 과 192.168.1.192/26 이 만들어지며, 다음 그림과 같이 각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부여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