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으로는 kubernetes 네트워크 속 CNI를 알고, Cilium의 메모리 누수 버그를 해결한 kakao 사례에 대해 설명하겠다. DKOS 를 개발하면서 생겼던 오류와 해결방안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 이 기회로 kubernetes의 세부적인 네트워킹 구조에 대해 공부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 들으면서 몰랐던 단어들이 많아서 좀 어지러웠는데 모르는 부분은 다른 블로그들을 참고하며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좋았던 점은 실무에서 문제가 일어났을 때 문제 해결의 전체적인 흐름도 함께 말씀해주셔서 트러블슈팅 과정을 들어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kubernetes 네트워크 모델 요구사항 - 클러스터의 모든 파드는 고유한 IP를 가진다. - 파드는 NAT 없이 노드 상의 모든 파드와 통신..